위원회 소개
국가교육과정 연구센터 지정 결과 공고
국가교육위원회 공고 제2025-11호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21조 및「같은 법 시행령」제22조(교육연구센터의 지정)에 따라, 국가교육과정 연구센터 지정 결과를 붙임과 같이 공고합니다.
자세히 보기[설명자료]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 시안을 5월까지 마련할 계획입니다.
□ 언론사명 : 교육언론창 / 2025. 4. 25.(금) □ 제목 : ‘알 박기’논란 중장기 교육계획 발표, 대선 뒤로 연기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 국가교육위원회는 지난 42차 전체회의(’25.1.20.)에서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이하 ‘발전계획’) 시안 마련 목표를 5월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국가교육위원회 2025년 업무계획에 담아 발표(’25.2.6.)한 바 있습니다. □ 위 보도에서 언급한 발전계획 시안 발표가 대선 이후로 사실상 연기가 결정되었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릅니다. 발전계획 시안 마련 일정은 이미 2025년 1월에 국가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결정한 사항으로, 5월 말에 발전계획 시안 보고서를 작성한다는 목표 아래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만, 발표 시기에 대해서는 국가교육위원회 전체회의 논의를 거쳐 결정할 계획입니다. □ 국가교육위원회는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고 교육정책이 사회적 합의에 기반하여 안정적이고 일관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발전계획 시안 마련 이후에도 충분한 의견수렴과 보완 절차를 거칠 예정입니다.
자세히 보기[인터뷰] “자유민주체제 다양 의견 존재 … ” (2024.8.25.)
□ 뉴데일리 (김희선 기자) “자유민주체제 다양 의견 존재 …” 역사학자·교육자 길 걸은 초대 국교위원장 "몸과 마음 건강한 아이들 키워내겠다" 기사보기
자세히 보기[토론회] 국가교육위원회, 「제10차 대토론회」 _5(하이라이트)
국가교육위원회는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학생평가 및 대입체제”를 주제로 1월 20일(월) 오후 2시에 은행회관(서울 중구) 국제회의실에서 제10차 대토론회를 개최하였습니다. <국가교육위원회, 10차 대토론회 하이라이트 영상> ✔ 다음은 하이라이트 영상을 감상하시겠습니다. 희망찬 미래 교육을 설계하는 국가교육위원회, 토론회를 통해 소통에 한 발 더 나아가겠습니다.
자세히 보기위원회 소개
국가교육위원회
누리집에 방문해 주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위원회 활동
국가교육과정 연구센터 지정 결과 공고
국가교육위원회 공고 제2025-11호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21조 및「같은 법 시행령」제22조(교육연구센터의 지정)에 따라, 국가교육과정 연구센터 지정 결과를 붙임과 같이 공고합니다.
자세히 보기[설명자료]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 시안을 5월까지 마련할 계획입니다.
□ 언론사명 : 교육언론창 / 2025. 4. 25.(금) □ 제목 : ‘알 박기’논란 중장기 교육계획 발표, 대선 뒤로 연기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 국가교육위원회는 지난 42차 전체회의(’25.1.20.)에서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이하 ‘발전계획’) 시안 마련 목표를 5월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국가교육위원회 2025년 업무계획에 담아 발표(’25.2.6.)한 바 있습니다. □ 위 보도에서 언급한 발전계획 시안 발표가 대선 이후로 사실상 연기가 결정되었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릅니다. 발전계획 시안 마련 일정은 이미 2025년 1월에 국가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결정한 사항으로, 5월 말에 발전계획 시안 보고서를 작성한다는 목표 아래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만, 발표 시기에 대해서는 국가교육위원회 전체회의 논의를 거쳐 결정할 계획입니다. □ 국가교육위원회는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고 교육정책이 사회적 합의에 기반하여 안정적이고 일관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발전계획 시안 마련 이후에도 충분한 의견수렴과 보완 절차를 거칠 예정입니다.
자세히 보기[인터뷰] “자유민주체제 다양 의견 존재 … ” (2024.8.25.)
□ 뉴데일리 (김희선 기자) “자유민주체제 다양 의견 존재 …” 역사학자·교육자 길 걸은 초대 국교위원장 "몸과 마음 건강한 아이들 키워내겠다" 기사보기
자세히 보기[토론회] 국가교육위원회, 「제10차 대토론회」 _5(하이라이트)
국가교육위원회는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학생평가 및 대입체제”를 주제로 1월 20일(월) 오후 2시에 은행회관(서울 중구) 국제회의실에서 제10차 대토론회를 개최하였습니다. <국가교육위원회, 10차 대토론회 하이라이트 영상> ✔ 다음은 하이라이트 영상을 감상하시겠습니다. 희망찬 미래 교육을 설계하는 국가교육위원회, 토론회를 통해 소통에 한 발 더 나아가겠습니다.
자세히 보기위원회 활동
위원회 소식
국가교육과정 연구센터 지정 결과 공고
국가교육위원회 공고 제2025-11호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21조 및「같은 법 시행령」제22조(교육연구센터의 지정)에 따라, 국가교육과정 연구센터 지정 결과를 붙임과 같이 공고합니다.
자세히 보기[설명자료]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 시안을 5월까지 마련할 계획입니다.
□ 언론사명 : 교육언론창 / 2025. 4. 25.(금) □ 제목 : ‘알 박기’논란 중장기 교육계획 발표, 대선 뒤로 연기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 국가교육위원회는 지난 42차 전체회의(’25.1.20.)에서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이하 ‘발전계획’) 시안 마련 목표를 5월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국가교육위원회 2025년 업무계획에 담아 발표(’25.2.6.)한 바 있습니다. □ 위 보도에서 언급한 발전계획 시안 발표가 대선 이후로 사실상 연기가 결정되었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릅니다. 발전계획 시안 마련 일정은 이미 2025년 1월에 국가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결정한 사항으로, 5월 말에 발전계획 시안 보고서를 작성한다는 목표 아래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만, 발표 시기에 대해서는 국가교육위원회 전체회의 논의를 거쳐 결정할 계획입니다. □ 국가교육위원회는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고 교육정책이 사회적 합의에 기반하여 안정적이고 일관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발전계획 시안 마련 이후에도 충분한 의견수렴과 보완 절차를 거칠 예정입니다.
자세히 보기[인터뷰] “자유민주체제 다양 의견 존재 … ” (2024.8.25.)
□ 뉴데일리 (김희선 기자) “자유민주체제 다양 의견 존재 …” 역사학자·교육자 길 걸은 초대 국교위원장 "몸과 마음 건강한 아이들 키워내겠다" 기사보기
자세히 보기[토론회] 국가교육위원회, 「제10차 대토론회」 _5(하이라이트)
국가교육위원회는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학생평가 및 대입체제”를 주제로 1월 20일(월) 오후 2시에 은행회관(서울 중구) 국제회의실에서 제10차 대토론회를 개최하였습니다. <국가교육위원회, 10차 대토론회 하이라이트 영상> ✔ 다음은 하이라이트 영상을 감상하시겠습니다. 희망찬 미래 교육을 설계하는 국가교육위원회, 토론회를 통해 소통에 한 발 더 나아가겠습니다.
자세히 보기위원회 소식
-
공지사항
[토론회] 국가교육위원회, 「제10차 대토론회」 _5(하이라이트)
2025.03.17 -
홍보자료
[토론회] 국가교육위원회, 「제10차 대토론회」 _5(하이라이트)
2025.03.17 -
언론보도
[인터뷰] “자유민주체제 다양 의견 존재 … ” (2024.8.25.)
2024.08.26 -
보도자료
[설명자료]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 시안을 5월까지 마련할 계획입니다.
2025.04.25
-
공지사항
국가교육과정 연구센터 지정 결과 공고
2025.03.31 -
공지사항
국가교육발전 연구센터 지정 결과 공고
2025.03.31 -
공지사항
국가교육위원회 단시간 근로자(변호사) 채용 공고
2025.03.06
-
보도자료
[설명자료]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 시안을 5월까지 마련할 계획입니다.
2025.04.25 -
보도자료
[보도자료] 국가교육과정 모니터링단 3기 발대식 개최
2025.04.16 -
보도자료
[보도자료] 국가교육위원회 제47차 회의 개최
2025.04.14
-
공지사항
국가교육과정 연구센터 지정 결과 공고
국가교육위원회 공고 제2025-11호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21조 및「같은 법 시행령」 ...
2025. 03. 31 -
홍보자료
[토론회] 국가교육위원회, 「제10차 대토론회」 _5(하이라이트)
국가교육위원회는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학생평가 및 대입체제 를 주제로 1월 20일(월) 오후 2시에 은행회관(서울 중 ...
2025. 03. 17 -
언론보도
[인터뷰] “자유민주체제 다양 의견 존재 … ” (2024.8.25.)
□ 뉴데일리 (김희선 기자) 자유민주체제 다양 의견 존재 역사학자 교육자 길 걸은 ...
2024. 08. 26 -
보도자료
[설명자료]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 시안을 5월까지 마련할 계획입니다.
□ 언론사명 : 교육언론창 / 2025. 4. 25.(금) □ 제목 : 알 박기 논란 ...
2025. 04. 25
-
공지사항
국가교육과정 연구센터 지정 결과 공고
국가교육위원회 공고 제2025-11호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
2025. 03. 31 -
공지사항
국가교육발전 연구센터 지정 결과 공고
국가교육위원회 공고 제2025-10호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
2025. 03. 31 -
공지사항
국가교육위원회 단시간 근로자(변호사) 채용 공고
대통령 소속 국가교육위원회(사무처)에서 근무할 단시간 근로자(변호사)를 붙임과 같이 공개 ...
2025. 03. 06
-
보도자료
[설명자료]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 시안을 5월까지 마련할 계획입니다.
□ 언론사명 : 교육언론창 / 2025. 4. 25.(금) □ 제목 : 알 박기 논란 ...
2025. 04. 25 -
보도자료
[보도자료] 국가교육과정 모니터링단 3기 발대식 개최
□ 대통령 소속 행정위원회인 국가교육위원회(위원장 이배용, 이하 국교위 )는 4월 16일 ...
2025. 04. 16 -
보도자료
[보도자료] 국가교육위원회 제47차 회의 개최
□ 대통령 소속 행정위원회인 국가교육위원회(위원장 이배용, 이하 국교위 )는 4월 1 ...
2025. 04. 14
-
언론보도
[인터뷰] “자유민주체제 다양 의견 존재 … ” (2024.8.25.)
□ 뉴데일리 (김희선 기자) 자유민주체제 다양 의견 존재 역사학자 교육자 길 걸은 ...
2024. 08. 26 -
언론보도
[인터뷰] “논·서술형 수능은 가야 할 길…공정성 확보는 숙제” (2024.1.31.)
□ 이데일리 (신하영·김윤정 기자) “논·서술형 수능은 가야 할 길…공정성 확보는 숙제” ...
2024. 02. 01 -
언론보도
[인터뷰] “무전공 입학, 학생에 도움 되게 수강·진로지도 필요” (2024.1.31.)
□ 이데일리 (신하영·김윤정 기자) “무전공 입학, 학생에 도움 되게 수강·진로지도 필요” ...
2024. 02. 01
-
홍보자료
[토론회] 국가교육위원회, 「제10차 대토론회」 _5(하이라이트)
국가교육위원회는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학생평가 및 대입체제 를 주제로 1월 20일(월) 오후 2시에 은행회관(서울 중 ...
2025. 03. 17 -
홍보자료
[토론회] 국가교육위원회, 「제10차 대토론회」 _4(종합토론, 마무리 말씀 및 폐회)
국가교육위원회는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학생평가 및 대입체제 를 주제로 1월 20일(월) 오후 2시에 은행회관(서울 중 ...
2025. 03. 14 -
홍보자료
[토론회] 국가교육위원회, 「제10차 대토론회」 _3(발제3, 지정토론)
국가교육위원회는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학생평가 및 대입체제 를 주제로 1월 20일(월) 오후 2시에 은행회관(서울 중 ...
2025. 03. 13
소속위원회
국가교육과정 연구센터 지정 결과 공고
국가교육위원회 공고 제2025-11호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21조 및「같은 법 시행령」제22조(교육연구센터의 지정)에 따라, 국가교육과정 연구센터 지정 결과를 붙임과 같이 공고합니다.
자세히 보기[설명자료]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 시안을 5월까지 마련할 계획입니다.
□ 언론사명 : 교육언론창 / 2025. 4. 25.(금) □ 제목 : ‘알 박기’논란 중장기 교육계획 발표, 대선 뒤로 연기 <보도내용에 대한 설명> □ 국가교육위원회는 지난 42차 전체회의(’25.1.20.)에서 중장기 국가교육발전계획(이하 ‘발전계획’) 시안 마련 목표를 5월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국가교육위원회 2025년 업무계획에 담아 발표(’25.2.6.)한 바 있습니다. □ 위 보도에서 언급한 발전계획 시안 발표가 대선 이후로 사실상 연기가 결정되었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릅니다. 발전계획 시안 마련 일정은 이미 2025년 1월에 국가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결정한 사항으로, 5월 말에 발전계획 시안 보고서를 작성한다는 목표 아래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만, 발표 시기에 대해서는 국가교육위원회 전체회의 논의를 거쳐 결정할 계획입니다. □ 국가교육위원회는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고 교육정책이 사회적 합의에 기반하여 안정적이고 일관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발전계획 시안 마련 이후에도 충분한 의견수렴과 보완 절차를 거칠 예정입니다.
자세히 보기[인터뷰] “자유민주체제 다양 의견 존재 … ” (2024.8.25.)
□ 뉴데일리 (김희선 기자) “자유민주체제 다양 의견 존재 …” 역사학자·교육자 길 걸은 초대 국교위원장 "몸과 마음 건강한 아이들 키워내겠다" 기사보기
자세히 보기[토론회] 국가교육위원회, 「제10차 대토론회」 _5(하이라이트)
국가교육위원회는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학생평가 및 대입체제”를 주제로 1월 20일(월) 오후 2시에 은행회관(서울 중구) 국제회의실에서 제10차 대토론회를 개최하였습니다. <국가교육위원회, 10차 대토론회 하이라이트 영상> ✔ 다음은 하이라이트 영상을 감상하시겠습니다. 희망찬 미래 교육을 설계하는 국가교육위원회, 토론회를 통해 소통에 한 발 더 나아가겠습니다.
자세히 보기소속위원회
-
전문위원회
국가교육위원회는 그 소관사무에 관하여 실무적인 자문이나 심의·의결 사항에 관한
사전검토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위원회 소속으로 전문위원회를 둘 수 있습니다.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17조, 같은법 시행령 제18조) -
특별위원회
국가교육위원회는 긴급하고 중요한 교육의제를 심의·의결하기 위하여 사전검토 또는 자문 등이
필요한 경우로서 위원장 또는 위원 3명 이상의 요구가 있는 때에 재적위원 과반수의 동의를 얻어
기한을 정하여 위원회 소속으로 특별위원회를 둘 수 있습니다.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18조, 같은법 시행령 제19조) -
국민참여위원회
국가교육위원회는 그 소관사무에 관하여 실무적인 자문이나 심의·의결 사항에
관한 사전검토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위원회 소속으로 전문위원회를 둘 수 있습니다.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17조, 같은법 시행령 제18조) -
국가교육과정모니터링단
국가교육위원회는 국가교육과정 기준과 내용에 대한 국민의견을 수렴하고
시·도교육청별, 학교급별, 교과별 등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조사·분석 및
점검 업무를 지원하게 하기 위하여 국가교육과정모니터링단을 둘 수 있습니다.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2조)
-
소속위원회
전문위원회
바로가기국가교육위원회는 그 소관사무에 관하여 실무적인 자문이나 심의·의결 사항에 관한
사전검토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위원회 소속으로 전문위원회를 둘 수 있습니다.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17조, 같은법 시행령 제18조) -
소속위원회
특별위원회
바로가기국가교육위원회는 긴급하고 중요한 교육의제를 심의·의결하기 위하여 사전검토 또는 자문 등이
필요한 경우로서 위원장 또는 위원 3명 이상의 요구가 있는 때에 재적위원 과반수의 동의를 얻어
기한을 정하여 위원회 소속으로 특별위원회를 둘 수 있습니다.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18조, 같은법 시행령 제19조) -
소속위원회
국민참여위원회
바로가기국가교육위원회는 그 소관사무에 관하여 실무적인 자문이나 심의·의결 사항에
관한 사전검토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위원회 소속으로 전문위원회를 둘 수 있습니다.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17조, 같은법 시행령 제18조) -
소속위원회
국가교육과정모니터링단
바로가기국가교육위원회는 국가교육과정 기준과 내용에 대한 국민의견을 수렴하고
시·도교육청별, 학교급별, 교과별 등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조사·분석 및
점검 업무를 지원하게 하기 위하여 국가교육과정모니터링단을 둘 수 있습니다.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2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