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제도 개편 특별위원회 활동 보고서 ······················· 08 지방대학 발전 특별위원회 활동 보고서 ······················· 34 전인교육 특별위원회 활동 보고서 ······················· 98 직업·평생교육 특별위원회 활동 보고서 ····················· 178 미래과학인재양성 특별위원회 활동 보고서 ····················· 224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권 회복 특별위원회 활동 보고서 ····················· 252 1 3 2 5 4 6 05
제9차 대학입시제도 개편 특별위원회(’23.11.28.) 대학입시제도 개편 특별위원회 워크샵(’23.11.21.) 제8차 대학입시제도 개편 특별위원회(’23.11.1.) 제7차 대학입시제도 개편 특별위원회(’23.10.17.) 제4차 대학입시제도 개편 특별위원회(’23.7.19.) 제3차 대학입시제도 개편 특별위원회(’23.6.21.) 제2차 대학입시제도 개편 특별위원회(’23.5.18.) 제1차 대학입시제도 개편 특별위원회(’23.4.27.) 14 1. 대학입시제도 개편 특별위원회 활동 보고서
5. 미래과학인재양성 특별위원회 활동 보고서 제시된 정책 대안이나 의견 등은 국가교육위원회의 공식 의견이 아니라 위원들간 논의한 견해임을 밝혀둠 과학적 사고로 미래를 선도하는 인재 강국 실현을 위한 미래과학인재양성 방향과 추진과제 국가교육위원회 미래과학인재양성 특별위원회에서는 과학인재 양성을 위한 거시적 관점의 추진 방향을 다음과 같이 선언하고, 이를 위한 과제를 제안한다. ▣ 본 선언은 우리나라 교육기본법에서 제시하는 홍익인간의 이념인 인간다운 삶의 영위와 민주국가의 발전, 인류공영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방향이다. ▣ 과학인재는 모든 문제를 과학적 절차와 방법에 근거하여 해결하는 사고 역량을 가진 사람이다. ▣ 과학적 사고 역량은 특정 교과와 특정 분야에서만 다루지 않는 전 국민의 보편적 소양 차원에서 함양해야 한다. ▣ 전 국민의 과학적 사고 역량은 민주주의의 가치를 실현하고, 민주적 의사결정의 토대가 됨을 국가는 선언해야 한다. ▣ 과학적 사고 역량은 유아, 초·중등, 고등, 평생에 이르는 교육 체제 속에 공통된 학습 목표로 설정해야 한다. ▣ 과학적 사고 역량의 토대 위에 핵심 분야의 고도화된 과학인재가 발굴·지원되는 종합적인 양성 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 이 모든 철학은 전 부처의 인재양성 관련 추진계획에 반영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협의체가 구성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국가교육위원회 미래과학인재양성 특별위원회 위원 일동 224 5. 미래과학인재양성 특별위원회 활동 보고서
Ⅱ. 교권 회복을 위한 제안 과제 4대 분야 15개 핵심과제 1. 교원의 안전하고 자율적인 교육활동 보장을 위한 법·제도 정비 1-1. 아동복지법 및 아동학대처벌법 1-2. 학교폭력예방법 1-3. 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 등 1-4. 법정의무교육 개선을 위한 법령 또는 지침 마련 2. 교육 환경 개선 지원 2-1. 유치원의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지원 체계 구축 2-2. 특수교육 교원 교권 회복을 위한 특수교육 환경 개선 2-3. 교원 행정업무 경감과 직무 조정 2-4. 학생 맞춤형 마음건강 통합지원 방안 추진을 위한 여건 조성 3. 교원 전문성 신장을 통한 사회적 신뢰 회복 3-1. 현장 이해를 위한 예비교사(교·사대) 대상 교육과정 개선 3-2. 교직 전문성 수행 기준 확립 및 전문성 개발 지원체계 정비 3-3. 교장·교감의 리더십 강화 3-4. 승진제도 등 교사 자격체계 개선 4. 교육공동체 소통 강화 및 상호 신뢰 문화 조성 4-1. 특이 민원 예방 및 대응 체계 정비 4-2. 교직 사회 상호이해 증진을 위한 민원 응대 시스템 개선 4-3. 상호신뢰하는 교육문화 창조 2024 국가교육위원회 백서 Ⅱ 253
www.ne.go.krRkJQdWJsaXNoZXIy MjQyMzM2OQ==